도커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픈소스/srs] 1. 오픈소스 도커 디버깅 기본 환경 설정 이런 것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오픈소스 SRS에서 권장하는 방식으로 도커로 디버깅 준비 하는 법VSCode를 통해 Docker 안에서 디버깅을 하는 법오픈소스 기여를 하기위해 이슈를 고르는 법이런 것에 대한 정보는 담겨있지 않다vs코드 remote ssh 사용법1. 오픈소스 SRS 기여를 위한 디버그 환경 설치개발자가되면 계속해서 하고 싶었던 오픈소스 기여를 하기위해 하고있는 일들을 블로그로 적으려고한다. 일단 프로젝트는 SRS라는 미디어 서버를 선택했다. 미디어 자체에 관심이있고 많이 해보고 싶다 보니 고르게 됐고. 나름 규모있는 프로젝트여서 초보자가 들어가기 위한 가이드같은게 마련되어있어서 고른 것도 있었다. SRS는 프로젝트 적으로 도커에서 실행하는 것을 권장하는 특징이 있었다. 난 처음에 여기부.. EC2-NGINX-도커-젠킨스 설정 이런 것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젠킨스를 설정하는 법.젠킨스를 도커 안에서 여는 법EC2 속 젠킨스를 운영하는법.엔진엑스와 도커 연결작업 간 이슈이런 것에 대한 정보는 담겨있지 않다젠킨스 CD하는법 (아직 안 함)1. 젠킨스를 설정하는 법.젠킨스는 보통 커밋, 푸시와 이에 대한 통합과 배포를 자동화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생각보다 처음 접근할때 어렵게 느껴지는 내용중 하나다. 하지만 막상 하나씩 떼어놓고 보면 우리가 의식으로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없다1. 1 젠킨스는 어디에 위치하냐.통합과, 자동화라는 측면에서만 해석한다면 젠킨스는“서로 다른 환경에서 프로젝트의 버전 차이를 인식하고 사람이 손쓰기 전에 통합한다.“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즉 젠킨스는 서로다른 개발환경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커밋같은 .. 이전 1 다음